조문예절

written by 뻬호
생활정보· 2018. 6. 20. 19:48

「올바른 조문 절차와 장례 예절을 배워봅시다.」

1 조문가는 시간

가까운 친척 친지 가운데서 상을 당했다는 연락이 오면, 가급적 빨리 상가에 가서 상제를 도와 장의준비를 함께 하는 것이 좋다.

즉시 달려가서 도와주어야 하는 경우가 아닌사람은 상가에서 성복이 끝나기를 기다린다. 상을 당한 직후에는 조문객을 맞을 준비가 안 되어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스스럼 없는 사이라면 염습이나 입관을 마친뒤에도 괜찮다.



2 조문객의 옷차림과 절하는 방법

- 남성조문객

현대의 장례예절에서는 검정색 양복이 원칙이다. 그러나 검정색 양복이 준비되지 못한 경우 감색이나 회색도 실례가 되지 않는다.

와이셔츠는 반드시 흰색으로 하고 넥타이, 양말, 구두는 검정색으로 한다.

부득이 정장을 하지 못하고 평상복일 경우 단정한 복장을 하되 화려한 무늬의 원색 옷차림을 피하고 치장을 삼간다.


- 여성조문객

여성은 검정색 상의에 검정색 스커트를 입는 것이 가장 무난하다. 그리고 검정색 구두에 무늬가 없는 검정색 스타킹이 좋다. 그밖에 장갑이나 핸드백도 검정색으로 통일시킨다. 

부득이 평상복일 경우 단색 계통이 무난하며 화려한 의상이나 몸에 꼭 맞는 옷은 피하도록 한다.

화장은 연하게 하고 되도록 색채화장은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핑크나 레드 색상의 짙은 입술화장은 좋지 않으며 귀걸이, 목걸이, 반지 등 액세서리도 가능하면 피하거나 눈에 띄지 않도록 한다.



3 조문 절차

1 조객록 서명 상가에 도착하면 조객록에 서명한다.

2 분향과 헌화 상주에게 목례 후 영정 앞에 무릎을 꿇고 앉는다.

3 재배 영좌 앞에 일어서서 잠깐 묵념 또는 두 번 절한다.

4 조문 영좌에서 물러나 상주와 맞절을 한다. 종교에 따라 절을 하지 않는 경우에는 정중히 고개를 숙여 예를 표해도 된다.

5 부의금 전달 부의금을 전달한다.



4 인사말

문상(問喪)이란 말은 상가에 가서 죽은 이에게 예를 올리고 유족을 위로하는 것으로 요즘에는 조상 (弔喪:죽은 이에게 예를 표함), 조문(弔問:상주에게 인사를 함) 등과 구분없이 같은 의미로 사용하고 있다.

문상시에는 고인에게 재배하고 상주에게 절한 후 아무 말도 하지 않고 물러나오는 것이 일반적이며 전통적인 예의이기도 하다.

상을 당한 사람을 가장 극진히 위로해야 할 자리이지만 그 어떤 말도 상을 당한 사람에게는 위로가 될 수 없다는 뜻이며 오히려 아무 말도 하지 않는 것이 더 깊은 조의를 표하는 것이 된다.

마찬가지로 문상을 받는 상주 역시 말을 하지 않는 것을 모범으로 여기며, 더욱이 상주는 죄인이므로 말을 해서는 안된다는 것이 전통적인 관습이다. 그러나 실제 문상의 말은 문상객과 상주의 나이, 평소의 친소 관계등,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건네는 것이 합리적이다.

격식이나 형식을 차린 표현보다 따뜻하고 진지한 위로 한마디를 미리 문상전에 준비하는 것이 좋다.

상주도 ''고맙습니다'', ''뭐라 드릴 말씀이 없습니다'' 등으로 문상에 대한 감사를 표한다.


- 상제의 부모인 경우

"상사에 얼마나 애통하십니까"

"친환(親患)으로 그토록 초민(焦悶)하시더니 이렇게 상을 당하시어 얼마나 망극하십니까"

"환중이시라는 소식을 듣고도 찾아 뵙옵지 못하여 죄송하기 짝이 없습니다"

"그토록 효성을 다하셨는데도 춘추가 높으셔서 인지 회춘을 못하시고 일을 당하셔서 더욱 애통하시겠습니다."

"망극한 일을 당하셔서 어떻게 말씀드려야 좋을지 모르겠습니다"

(망극(罔極)이란 말은 부모상(父母喪)에만 쓰인다.)


- 상제의 아내인 경우

"위로할 말씀이 없습니다"

"옛말에 고분지통(叩盆之痛)이라 했는데 얼마나 섭섭 하십니까"

(고분지통(叩盆之痛) : 아내가 죽었을 때 물동이를 두드리며 슬퍼했다는 장자(莊子)의 고사에서 나온 말)


- 상제의 남편인 경우

"상사에 어떻게 말씀 어쭐지 모르겠습니다"

"천붕지통(天崩之痛)에 슬픔이 오죽하십니까."

"하늘이 무너진다는 말씀이 있는데, 얼마나 애통하십 니까."

(천붕지통(天崩之痛) : 하늘이 무너지는 듯한 아픔이라는 뜻으로 "남편이 죽은 슬픔"을 이르는 말)


- 상제의 형제인 경우

"백씨(伯氏) 상을 당하셔서 얼 마나 비감하십니까"

"할반지통(割半之痛)이 오죽하시겠습니까"

(할반지통(割半之痛) : 몸의 절반을 베어내는 아픔이란 뜻으로 "형제자매가 죽은 슬픔"을 이르는 말)

(백씨(伯氏) : 남의 맏형의 존댓말)

(중씨(仲氏) : 남의 둘째 형의 높임말)

(계씨(季氏) : 남의 사내 아우에 대한 높임말)


- 자녀가 죽었을 때 (그 부모에게)

"얼마나 상심하십니까"

"참척(慘慽)을 보셔서 얼마나 마음이 아프십니까"

"참경(慘景)을 당하시어 얼마나 비통하십니까"

(참척(慘慽) : 자손이 부모나 조부모에 앞서 죽은 일)


- 인사말(예시)

- 조객이 먼저 빈소에 곡재배(哭再拜)합니다.

- 상주에게 절을 하고 꿇어 앉아 정중한 말씨로 예를 표합니다.

  • 조객 : "상사말씀 무슨 말씀 여쭈오리까."
  • 상주 : "모두 저의 죄가 많은 탓인가 봅니다."
  • 조객 : "대고를 당하시니 얼마나 애통하십니까."
  • 상주 : "원로에 이토록 수고하여 주시니 송구하옵니다."
  • 조객 : "병환이 침중하시더니 상사까지 당하시니 오죽 망극하오리까."
  • 상주 : "망극하기 그지 없습니다."


5 조의금(弔儀金)

조의금은 문상을 마친 후 물러 나와 호상소에 접수시키거나 부의함에 직접 넣는다. 상주에게 직접 건네는 것은 결례가 된다.

부의(賻儀)는 상부상조하는 우리 고유의 전통적인 미풍양속으로 형편에 맞게 성의를 표하되, 혹 여유가 있다 하여 과다한 금액의 부조를 하는 것도 옳지 않다.

봉투에는 일반적으로 부의(賻儀), 근조(謹弔), 조의(弔儀), 전의(奠儀) 등으로 쓴다.



6 조문시 삼가야 해야할 일

유족을 붙잡고 계속해서 말을 시키는것은 실례가 된다. 왜냐하면 장의 진행에 불편을 주고 유족에게 정신적 피로감을 주기 때문이다.

반가운 친구나 친지를 만나더라도 큰소리로 이름을 부르지 말고 낮은 목소리로 조심스럽게 말하며 조문이 끝난 뒤 밖에서 따로 이야기 하도록 해야한다.

고인의 사망 원인, 경위 등을 유족에게 상세하게 묻는것은 실례가 된다.